HOME < 자격증 및 취업지원 < 자격증정보
                   
    

용접은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및 건설 등의 산업에서 제품이나 설비의 제조, 조립, 설치, 보수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용접기술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공정, 기계 및 기술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 배출을 위해 자격을 제정.
1983년 기계기술사(용접)으로 신설되어 1991년 용접기술사로 변경.
용접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부품의 설계 및 제조과정에서 용접공정에 대한 신기술을 계획, 연구, 설계, 분석하고, 금속 및 비금속의 특성에 따른 접합기술을 개발, 시험, 운영, 평가하며,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 02-3271-9190~1)
② 관련학과 : 대학의 기계공학, 금속공학 등 관련학과
③ 시험과목
 - 필기 : 용접법, 용접야금, 용접재료, 용접구조설계, 용접시공관리, 용접관련장치, 안전위행,
   용접부검사, 용접에 관한 법규 및 규격, 기계공작법 및 생산관리에 관한 사항
④ 검정방법
 -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 정도)
⑤ 합격기준
 -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용접에 관련된 실무경험, 일반지식, 전문지식 및 응용능력
- 기술사로서의 경영관리 지도감리능력, 자질 및 품위
-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진출하고 있으며, 이외에 도 행정분야, 학계,
   연구소 등으로도 진출할 수 있다.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특급 감리원이나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철도·궤도 공사업, 가스시설공사업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될 수 있다.
- 용접의 활용범위와 소재가 날로 광범위해지고 자동화, 로봇화되면서 용접의 고강도화, 고탄성화,
   고정밀화, 용접변형의 극소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극한 환경아래에서도 용접이 가능한 무인화가 추진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신소재에 대한 용접기술 및 차세대 신용접, 접합기법의 개발이 요구되기
   때문에 용접분야 기술인력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최근 5년간 자격응시인원에서도 지속
   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용접직업전문학교 바로가기 - http://www.k-weld.com/job/job.php?menu_sub=1&menu_th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