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IT분야를 맡고 있습니다
네트워크쪽으로 진출을 하고싶으시다면 직접적인 실무장비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차피 가셔야할 길이라면 CCNA를 독학으로 자격증을 준비를 하지마시고 전문적인교육센터에서 CCNP까지 취득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학원시설역시도 장비시설이 잘 되어있는곳에서 하는것이 좋은데요.
본인이 일반적으로 준비를 하신다면 3개월정도의 교육만 가지고서 일반 네트워크 업무를 하실수가 있습니다.
3개월역시도 교육센터에서 실무적인 장비를 만지시고 셋팅을 하시면서 서버연동연결이라던지 네트워크초점으로 공부를 하실수가 있는데요
지금 그러시다면 평일로 이용을 하시거나 아니면
각 기관마다 취업반과정이 따로 네트워크수업이 들어있구요.
각 과정같은경우에는 3~4개월교육의수료와 동시에 취업지원을 한다고 보시면 될거에요
차이같은경우 자격증과 일반적인 업무로 본인 스스로 취업을 나가느냐 아니면 취업반교육으로 나가느냐 차이구요..
좀더 자세한것은 전문가와 상담을 통하여 교육이수를 받으시면 됩니다.
현재 미취업자라고 하시면 국가에서 지원받을수있는 국비교육진행도 가능하거든요.
그렇기때문에 전문적으로 하는 컴퓨터학원에서 이수를 하는게 매우 좋구요.
네트워크 분야는 다른 컴퓨터 분야보다는특히 정보보안 전문가 학력에 대한 제한이 좀 덜 합니다.
단지. 실무 능력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기술능력은 이미 갖고 있지만 응용능력이 없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럼 네트윅 엔지니어가 되려면 어떤 기술능력들이 필요할까요?
일단 OS(운영체제-MS. Linux. Unix)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윈도우 및 리눅스에 대한 이해 및 운용 , 보안 설정 능력을 바탕으로 IIS, DNS, EXCHANGE, DHCP, Active directory 서비스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더불어 네트웍장비에 대한 이해와 운용능력을 겸비해야겠죠.
일단 네트워크엔지니어는 서버관리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뭐 서버를 관리 안한다고는 말 못하겠지만... 주된 업무가 서버관리는 아니죠.
일단 네트워크엔지니어는 라우터나 스위치같은 통신장비를 다루는 직업입니다 소호급의 랜을 다루는 수준에서 광대역망을 다루는 수준까지 방대하죠 암튼 네트워크가 이루어지게끔 하고 그것을 관리하는게 네트워크엔지니어입니다.
저도 아직 미흡해서 계속 공부중이라 말씀드리기가 뭐한데 네트워크에 대해 접근하시려면 CCNA부터 공부하시라고 말하고 싶네요.
최근에 시스코사가 자사의 자격증 가치를 높이고 덤프만 보고 합격하는 페이퍼 자격증을 방지하기위해 3-4일마다 시험문제를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혼자 독학해서 합격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죠.
CCNA의 640-802 시험에 주관식 500점을 맞출수 있습니다. 참고로 CCNA 합격점수는 1000점 만점에 849점입니다.
대부분의 기업이 실무능력을 검증하는 CCNP를 원하므로
반드시 이 자격증은 취득해야 합니다.
일단 CCNA,CCNP만 취득한후 이왕이면 CSP, CCIE Security 를 취득하는것이 좋습니다.
네트워크쪽에서 전망있는건 WIRELESS LAN과 VPN, 보안쪽, IPV6, L4 스위치, TPS시스템 입니다.
이 쪽으로 공부하시는걸 추천합니다
1. 서버 운영 및 유지관리
- 우선, 서버에 대한 정의를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H/W에 한정하는 경우입니다. . 이때의 서버 운영 및 유지관리라고 하는 것은 주로 H/W적인 부분에 대한 활동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서버 운영의 경우, 전원 관리, 온도 및 습도 관리를 통해 서버가 Down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활동도 있을 수 있고, 서버 OS의 Upgrade나 Patch가 안정적으로 이루 어지도록 보장하는 활동도 있습니다. 요즘에는 서버에 유입이 될 수 있는 바이러 스등과 같은 유해 프로그램을 IDC의 자체 보안장비를 통해 사전에 걸러 냄으로써 서버의 보안성을 강화시키는 서비스도 있습니다. - 서버에 대한 정의를 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경우입니다. . 이 때는 기본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활동을 포함하는 것과 아울러 계약자의 Application을 구성하는 요소(예를들면 Web Server, WAS, DBMS)들을 같이 관 리하는 경우입니다. . Application을 포함하는 요소들에 대한 가용성과 Upgrade 및 Patch에 대한 유지 보수를 포함하는 경우입니다.
2. 네트워크 장비 및 선로 유지관리 -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즉 TCP/IP를 지원하 는 통신 장비가 설치되어 이러한 장비를 활용해야 합니다. - 이러한 장비에는 라우터, 스위치 및 다른 모뎀 장비들이 있을 수 있고 이런 장비들 에 유선 인프라가 연결이 되어 인터넷 서비스가 되는 것이고요. - 따라서, 우선 유선 인프라(즉 인터넷 선)이 Down되지 않아야 하고 IP로 통신을 하 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 또한 IP환경에 대한 셋팅과 관리가 잘 되어야 서버들 의 인터넷 서비스도 이상이 없이 진행이 되는 것입니다. - IDC에서는 이러한 관리를 해 주고 있고, 또 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유입이 되는 유해 IP Traffic을 차단하여 서버의 가용성을 네트워크 차원에서 보장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 네트워크 국비무료교육문의 : 1688-6499
*교육문의 주실때 국비지원교육정보센터 - 계좌제닷컴을 통해 문의 주셨다고 말씀해주시면 제휴기관인 경우 문화상품권 또는 교육비 활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좌제닷컴에서 못 찾는 정보는 여기서 찾을 수 있다. - 국비지원교육정보센터 www.gukbi.com 내일배움카드(계좌제) 및 해외취업 교육정보제공 계좌제닷컴 www.hrdclub.co.kr
|